챗GPT와 수시로 질문을 하는 일상 속에서 챗GPT와 한번 질문하는데 전기가 어느 정도 필요한지 아시는지요?
구글 검색보다도 10배나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오늘 한 기사에서도 AI시대 전력망을 제대로 못 갖추면 대정전이 올 수도 있다는 제목이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AI 전력소모는 어느 정도이며 전 세계 전력 수요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혁신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I 시대, 전력망 제대로 못 갖추면 대정전 올 수도'
경제·금융 > 경제동향 뉴스: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인공지능(AI) 시대에 전력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블랙아웃(대정전)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
m.sedaily.com
AI 전력 소모, 어느 정도인가?
1. 학습 단계에서의 어마어마한 전력 소비
AI의 전력 소모는 크게 학습(Training)과 추론(Inference) 두 단계로 나뉘는데요,
학습 단계에서 상상을 초월한 전력이 소모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PaLM 모델 하나 학습시키는 데 약 2,500 가구가 1년간 쓸 전력량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출처: 구글 AI 연구보고서, 2023)
GPT-4급 대형 모델을 학습하는데도 수만 개의 GPU가 몇 달간 풀가동되는데요,
이때 전력 소모량이 중소 도시 하나와 맞먹는다고 합니다
2. 서비스 운영 중에도 계속되는 전력 소모
우리가 일상적으로 AI 서비스를 사용할 때도 전력은 계속 소모되고 있습니다.
예로 챗GPT 질문을 1번 할 경우 약 2.9Wh의 전력 이 소모된다고 하는데요
(스탠퍼드대 연구, 2024)
이는 구글 검색 대비 약 10배나 높은 수치라고 합니다.
생성형AI의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이에 따라 일일 전력소모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미미한 전력을 소모하겠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엄청난 규모가 되는 것이죠.
전 세계 AI 전력 수요, 에너지정책도 바뀌어,,
1.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국제에너지기구(IEA)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AI·데이터센터가 전 세계 전력 소비의 8~1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는데요,
국가별 실제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일랜드: 데이터센터가 국가 전체 전력의 18% 소비 (2023년 기준)
✅ 네덜란드: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을 일시 중단하는 정책 시행
✅ 버지니아주: 데이터센터가 전체 전력 수요의 25% 차지
2. AI 전력 소요,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전력공사 자료를 들여다보면 우리나라 상황도 심각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국내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량이 지난 2020~2023년 동안 연평균 15%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여름철 전력 피크 시간대에 데이터센터 냉각으로 인한 전력 수요가
일반 가정 전력사용량의 30%만큼 추가 증가하는 효과와 맞먹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AI로 인한 전력 사용량 증가로 인해 전체 전력망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면
결국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는 대목입니다.
AI 전력 인프라, 혁신이 답!
이와 같이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 전력 소모와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서
AI 전력 인프라 혁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1. 재생에너지와의 결합
♦️빅테크 기업들의 친환경 전력 확보 경쟁:
✔️마이크로소프트: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100%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
✔️ 구글: 이미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67% 재생에너지로 운영 (2023년 기준)
✔️ 메타: 태양광 발전소와 직접 계약해 안정적 전력 공급 확보
이런 재생 에너지 외에도 소형 원자로(SMR) 도입까지 검토하고 있는데요,
AI 전력 수요가 워낙 크고 안정적이어서 원자력도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스마트 그리드와 전력 저장 기술
♦️ 효율적 전력 관리 시스템:
✔️ 스마트 그리드: AI 수요 패턴을 예측해 전력 공급을 자동 조절
✔️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밤에 생산한 풍력 전력을 낮에 AI 데이터센터에 공급
✔️ 전력 거래 시스템: 실시간 전력 가격에 따라 AI 연산 시간을 조절
3. 고효율 반도체 기술
♦️ 전력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 엔비디아 H100: 기존 대비 전력 효율 3배 개선
✔️ 구글 TPU: AI 전용 칩으로 범용 GPU 대비 전력 소모 80% 절약
✔️ 인텔, AMD 등도 저전력 AI 칩 개발에 집중 투자
결국엔 전력효율성이 뛰어난 AI칩을 개발하는 기업이 시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합니다.
전력 효율성이 AI 기업의 생존을 가른다
1. AI 전기요금, 운영비용의 핵심
AI 기업들의 총 운영비용(TCO) 구조가 완전히 바뀌고 있다고 하는데요,
전력비용이 전체 운영비의 30~40%를 차지하면서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대비 5배 이상 높은 전력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만약 전력 요금이 1% 오르면 순이익이 3~5% 감소하는 구조가 된다고 합니다.
2. 지역별 전력 단가가 사업 전략 결정
♦️ 전력 요금이 저렴한 지역으로 데이터센터 이전:
✔️ 아이슬란드: 지열 발전으로 저렴한 전력 + 자연 냉각 효과
✔️ 노르웨이: 수력 발전으로 전력 단가 세계 최저 수준
✔️ 텍사스: 풍력 발전 확대로 AI 데이터센터 유치 경쟁 중
AI전력, 개인과 기업의 대응책은?
1. 개인 차원의 현명한 AI 사용
♦️ 필요할 때만 AI 서비스 이용: 단순 검색은 구글, 복잡한 질문만 AI 활용
♦️ 효율적인 프롬프팅: 한 번에 원하는 답을 얻어 재질문 최소화
♦️ 전력 효율 높은 서비스 선택: 기업별 전력 효율성 정보 확인
2. 기업의 전략적 접근
♦️ 하이브리드 전력 전략: 재생에너지 + 기존 전력망 조합
♦️ 전력 효율 높은 AI 도구 선택: 도입 전 전력 소모량 비교 검토
♦️ 스마트 운영: 전력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AI 연산 집중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AI 전력 소모 급증은 단순한 기술적 이슈가 아니라
경제·사회 전반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전력 수요 폭증으로 인해 인프라 혁신, 산업 구조 재편까지 연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데요,
효율적인 AI사용과 더불어 보다 경제적인 기술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AI 미래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AI반도체 시장에서의 위치 및 전망 (0) | 2025.09.22 |
---|---|
엔비디아-인텔 협업, AI 반도체 생태계 대변혁의 시작 (1편) (2) | 2025.09.19 |
소버린AI, 내 손으로 평가하자 (1) | 2025.09.18 |
오픈AI, 10대 안전·자유·프라이버시를 위한 정책 발표 (1) | 2025.09.17 |
메타vs아마존vs구글? 스마트글래스 가이드(2) 제품별 비교분석 및 장단점 (1)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