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기술혁신부문 대상 수상한 마음AI,기술과 비즈니스 분석해보기

by Raina_AI 2025. 9. 11.

혹시 "마음AI"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최근 뉴스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마음AI가 2025년 대한민국 AI산업대상 AI기술혁신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요 

기업용 AI, 음성/대화 AI, 자율주행/로봇 AI까지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어서 

최근 들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마음AI의 유래와 기술, 비전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음AI, '2025 대한민국 AI 산업 대상' AI 기술혁신 부문 대상 수상 - 머니투데이

산업용 AI 분야의 Physical AI 혁신 리더 ㈜마음AI가 '2025 대한민국 AI 산업 대상'에서 AI 기술혁신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마음AI는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K-Physical AI' 선도 기

news.mt.co.kr


마음AI 개요

설립 

마음AI는 원래 "마인즈랩(Minds Lab)"에서 시작되었는데요,

지난 2023년 초 사명을 마음AI로 변경한 바 있습니다.

설립년도는 2014년이고, 본사는 경기도 성남 판교 IT센터입니다. 

대표와 조직

현재 대표이사는 유태준이고,

기술총괄 등 주요 인력을 중심으로 AI 엔진·플랫폼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사업 모델

마음AI는 기업(B2B) 및 공공(B2G)을 중심으로

AI 시스템 구축, AI 플랫폼/API, AI 휴먼, 자율주행/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음AI 로고


마음AI의 기술과 제품

이번에는 마음AI가 주력하고 있는 핵심 기술들과 서비스 제품군들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운데이션 모델 3대 축

♦️MAAL (Multilingual Adaptive Augmentation Language Model, “말”)

: 여러 언어에 대응하고, 기업 환경에서 온프레미스(On-Premise)로 운영 가능한 대형 언어 모델입니다.

 특히 한국어 성능 강화 쪽에 집중하고 있다고 합니다.


♦️ SUDA (Semantic Uninterrupted Dialogue Agent, “수다”)
 : 실시간 대화형 AI 에이전트로, 음성 → 텍스트 인식(STT), 의도 파악, 텍스트 → 음성 변환(TTS)까지 통합해서

자연스러운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 WoRV (World model for Robotics and Vehicle control, “워브”)
 : 비주얼 및 행동을 포함한 환경 인식을 통해 로봇/자율주행/임베디드 디바이스가

스스로 판단하고 동작할 수 있게 돕는 시각(vision) + 제어 모델을 뜻합니다.

플랫폼·서비스

🟢maum.ai 플랫폼 (버전 2.0 등)
 : AI 모듈(API) + 플랫폼화된 구독형(AIaaS)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기업이 필요에 따라 AI 기능을 조합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 마음오케스트라 (maum Orches­tra)
 : 다양한 AI 기술, 외부 API, 고객 데이터 등을 Drag & Drop 방식 등으로 연결해

AI 서비스 흐름을 설계할 수 있는 플랫폼 툴을 의미합니다.


🟢 AI 휴먼, 챗봇, 음성 봇 등 응용 서비스
 : 고객센터 챗봇, 상담봇, 음성봇 등을 비롯해

상담 품질검수(X QA), 회의록/문서요약/번역 등 자연어 처리 기반 서비스들이 실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마음AI

마음AI의 SUDA, MAAL, WoRV가 탑재된 'Physical AI' 가 업무를 자동화하고, 기업의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킵니다

maum.ai

 


마음AI의 강점과 한계

마음AI의 강점은?

☺️다양한 모달리티 기술 보유
 : 언어, 음성, 시각, 로봇 제어까지 광범위한 기술 스펙트럼이 있어서 통합 솔루션 제안이 가능합니다.
☺️ 온프레미스 + 고객 맞춤
 : 기업, 공공기관의 보안/프라이버시 조건을 고려해

 내부 서버(온프레미스)에 AI 모델을 설치하거나 운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다른 경쟁사들과의 차별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임베디드 AI / 피지컬 AI 영역 진출
 : 이제는 단순 소프트웨어 기반 AI가 아니라 로봇, 자율주행, 디바이스 제어 기술까지

 실제 물리 환경(Physical AI)에서 작동 가능한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플랫폼화와 API 사업 확대 가능성
 : 마음오케스트라 같은 툴, 플랫폼 서비스 + API 제공 등은 사업 확장성과 반복성(repeatability)을 확보하기 좋습니다.

마음AI의 한계 및 리스크

😢재무적 안정성 문제

 : 최근 매출은 증가하는 경향은 있지만,

 여전히 영업이익은 적자 상태이고 순이익도 마이너스여서 지속가능성이 이슈가 될 수 있습니다.
😢 심화된 경쟁

 : 국내외에서 대형 AI 기업들과의 경쟁, 오픈소스 모델 및 글로벌 파운데이션 모델들이 빠르게 성장 중이라 

기술 우위 유지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 기술 구현 난이도 & 데이터 확보

 : 특히 자율주행, 로봇 제어, 비주얼 인식 쪽은 데이터 수집/품질, 실사용 환경 적응 등 

여러 기술적·운영적 장애 요소가 많습니다.
😢 규제 및 윤리 문제

 : 개인정보 보호를 비롯해 AI 윤리, 언어/문화적 편향성(bias) 문제, AI 오작동 등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비전과 앞으로의 전망

AGI 기반 준비
 : 마음AI는 범용언어 모델, 영상/비디오/로봇 제어 기술 등을 통해 AGI (범용 인공지능)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도도 “말(MAAL)”, “수다(SUDA)”, “워브(WoRV)” 같은 기술들이 이 방향과 연결돼 있습니다.


글로벌 및 임베디드 확대
 ": 플랫폼을 해외로 확장하려고 하고 있는데요,

 특히 Ondevice AI, 현장 응용(농업, 물류, 스마트 로봇 등) 쪽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및 경량화 전략
 : 대규모 자본보다 효율성을 전략으로 삼고 있는데요, 

회사 측에서도 오픈소스 기반 모델 활용 + 맞춤 튜닝 전략이 핵심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마음AI는 단순히 챗봇을 만들고 대답하게 하는 기업을 넘어,

다양한 AI 모달리티(언어·음성·시각) + 물리적 기기 연계 + 기업/공공기관 맞춤형 솔루션 제공이라는

조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AI가 사용 중인 기술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가는지 지켜보는 것도

AI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좋은 사례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