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AI 딥페이크 규제가 2025년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성범죄부터 선거 개입, 가짜 뉴스 확산까지 파급력이 커지면서 정부와 기업 모두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AI딥페이크 규제의 4가지 축과 기업들의 대응전략, 처벌강화의 명암 등 최신 흐름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AI 딥페이크 규제, 4가지 축으로 이해하기

AI딥페이크 규제
AI딥페이크 규제

 

1. 형사·행정 규제 강화

2024년 「성폭력처벌법」이 개정되면서 성적 딥페이크 규제가 대폭 강화되었는데요, 제작과 유포는 물론, 소지와 시청만으로도 최대 3년 징역이나 벌금형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정부 합동 단속이 이어지면서 기소 사례도 늘고 있는가 하면, 방송통신 분야에서도 플랫폼의 불법정보 처리 의무가 강화되고, 삭제·차단 가이드라인이 계속 보완되고 있습니다.

2. 이용자 보호 강화

2025년 2월, 방송통신위원회(KCC)가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3월 시행).

이 가이드라인은 서비스 제공사에게 위험평가, 경고 표시, 신고 처리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025년 업무계획에서 합성 개인정보 삭제권 도입과 인격권 침해형 합성물에 대한 금지·처벌 조항 검토를 공식화했습니다. 

아마 앞으로 개인이 자신의 합성 이미지나 영상에 대해 더 강력한 통제권을 갖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3. 투명성 확보 (라벨링·워터마킹)

정부는 AI 생성물에 워터마크나 라벨을 붙이는 방안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특히 선거 기간에는 합성 콘텐츠 표기와 제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표준인 "C2PA '콘텐츠 크레덴셜"도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가시성과 플랫폼 간 호환성이 고르지 않다는 지적도 있는데요,

우리나라 기업들도 이 부분을 어떻게 구현할지 고민 중인 분위기입니다.

4. 기술 기반 탐지 강화

정부와 학계, 기업이 함께 딥페이크 탐지 데이터셋과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API 형태의 탐지 서비스도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한국 법·정책 동향 브리프나 학술 보고서를 보면, 법규와 기술을 결합한 접근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단순히 규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AI 규제와 윤리 문제: 한국과 해외 비교 분석

👉 오픈AI, 10대 안전·자유·프라이버시를 위한 정책 발표

👉  [기본기#12] AI윤리적 문제는? AI가 지켜야할 원칙과 사회적 변화


기업의 5단계 실무 대응 전략

STEP 1. 정책·거버넌스 수립
AI 생성물의 '허용/금지' 기준을 명문화하고, 신고·삭제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SLA)을 정해두세요. 

KCC 가이드라인의 위험평가·경고 표시 요건도 반영하면 좋습니다.
특히 선거 기간이나 청소년 보호와 관련해서는 별도의 특별 규정을 마련하는 게 안전합니다.
STEP 2. 라벨링·워터마킹 적용
AI 생성 파이프라인에 C2PA 메타데이터나 워터마크를 삽입하세요. 

다만 외부 플랫폼에 업로드할 때 변환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니, 플랫폼별 표시 정책을 미리 점검하는 게 중요합니다.
STEP 3. 탐지 체인 구축
업로드나 스트리밍 경로에 딥페이크 탐지 API를 장착하세요. 

의심 점수를 기반으로 자동 차단과 휴먼 리뷰를 병행하면 효과적이에요.
국내 기업들도 탐지 API 상용화에 적극적이니, 관련 솔루션을 검토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STEP 4. 임직원 교육·캠페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전사적으로 실시하고, 선거·홍보팀에는 전용 가이드를 제공하세요. 

법무·보안·커뮤니케이션 팀이 함께하는 위기대응 합동훈련도 필요합니다.
STEP 5. 대외 협력·공조
네이버, 카카오 같은 국내 포털·메신저와 공동선언이나 신고 채널 연계를 추진하세요. 

신속 삭제·차단 프로토콜을 마련하면 피해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실제로 국내 플랫폼들이 AI 안전성 테스트, 탐지·라벨링 실험, 선거 기간 합성물 관리 강화 등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AI 딥페이크 처벌 강화의 명과 암

형사처벌 강화는 분명 억지력이 크지만, 비성적 합성물(명예훼손, 선거 조작 등)에 대한 규율은 여전히 공백입니다.

국회와 정부가 플랫폼 책임과 투명성 규정을 보완 중이라고 하는데 지켜봐야겠죠.


♦️라벨링의 실효성 문제

워터마크나 라벨링은 플랫폼마다 구현 수준이 달라서 실효성이 제한적입니다.

워터마킹을 제거하거나 재인코딩하는 기술도 있고, 가시성이 부족한 경우도 많다 보니 이 부분은 기술과 정책이 함께 발전해야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 선거·여론 조작 리스크
2025년 상반기 선거 국면에서도 딥페이크를 이용한 여론 조작 시도가 현실화됐습니다. 

사전 탐지와 팩트체크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기업 투자 포인트
탐지 모델, 콘텐츠 인증, 신고 워크플로 자동화, 레그테크(RegTech) 솔루션, 교육·모니터링 BPO 등이 유망 분야입니다. 

정책 강화는 보안·거버넌스 시장의 수요를 키우고 있으니, 이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AI 딥페이크 규제는 우리나라에서 ①형사처벌 강화 ②이용자 보호 가이드 ③라벨링·워터마킹 ④탐지기술 확산이라는 4가지 축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정책·기술·교육·공조를 아우르는 5단계 실무 플레이북을 갖추고, 법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2026년을 향해서는 글로벌 표준(C2PA) 호환, 라벨 가시성 개선, 플랫폼 책임 명확화가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