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즘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면 정말 "내손안의 AI비서"란 생각이 드는데요, 그 중심에는 바로 온디바이스 AI가 있습니다.

즉 스마트폰 AI 기능이 클라우드 없이 작동하는 이 기술은 데이터를 외부로 보내지 않고 기기 내부에서 즉시 처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의 AI기능과 모발일 생성형AI 활용법, 장단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온디바이스 AI란? 핵심 개념 정리

온디바이스AI
온디바이스AI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란 스마트폰 이나 태블릿처럼 사용자 기기 자체에서 AI 모델이 작동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기존의 클라우드 AI가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 처리했다면, 온디바이스 AI는 기기 내 칩셋 (NPU) 이 직접 연산합니다. 

온디바이스AI, 클라우드 AI와 비교하기

구분 클라우드 AI  온디바이스 AI
처리 위치 원격 서버 스마트폰 내부 칩셋
반응 속도 느림 (네트워크 지연) 빠름 (로컬 실행)
보안 수준 데이터 전송 필요 로컬 처리 → 개인정보 보호
인터넷 필요 필수 불필요 또는 부분적 의존
활용 예시 클라우드 번역, 챗봇 카메라 인식, 음성비서, AI 요약

이 비교만 봐도 온디바이스 AI의 핵심 가치는 ‘속도’ 와 ‘보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스마트폰 필요없는 세상? 스마트글래스 가이드(1) 개념 및 최신동향

✔️ 메타vs아마존vs구글? 스마트글래스 가이드(2) 제품별 비교분석 및 장단점

✔️ 스마트폰글라스, 스마트폰을 대체할 차세대 플랫폼?


스마트폰 AI 활용 사례 5가지

 1️⃣ 카메라 기능 향상

요즘 스마트폰은 AI 가 피사체를 분석해 ‘인물’, ‘음식’, ‘풍경’ 등을 자동 인식하고 최적의 모드를 적용합니다.

이 기능이 바로 온디바이스 AI의 대표 사례입니다.

2️⃣ 음성 인식 및 번역

갤럭시 S24에서 통역 기능을 써보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인터넷 없이도 즉시 번역되는 게 정말 신기하죠.

해외여행 중 Wi-Fi 가 없을 때 유용합니다.

3️⃣ 모바일 생성형 AI

요약, 이모지 추천, 음성 요약 등 기능들이 기기 내부에서 이뤄집니다.

최근에는 ‘모바일 생성형 AI’가 경량화되어 NPU 에서 작동할 정도로 진화했습니다.

4️⃣ 개인화 학습 기능

온디바이스 AI는 사용자의 타이핑 습관이나 음성 패턴을 학습해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합니다.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 포인트이죠.

5️⃣ 오프라인 상황 대응

비행기 탑승 중이나 지하철처럼 네트워크가 끊긴 상황에서도 AI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AI의 장단점

🟢온디바이스AI 장점은?  속도와 보안

즉시 응답 속도: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지 않아 지연없음
보안 및 프라이버시: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 감소
네트워크 의존도 감소: 인터넷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기능 유지

🟢온디바이스AI 리스크는? 하드웨어의 한계

칩셋 성능 제약: 고성능 모델 탑재 없이는 무거운 AI 작업이 어려움
배터리 소모 및 발열: NPU 의 지속 연산으로 전력 소비 증가
생태계 불균형: OS 및 앱 호환성이 아직 제한적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을 요약하자면, 온디바이스 AI는 스마트폰 내부에서 AI 기능을 처리하는 혁신 기술로, 스마트폰 AI와 모바일 생성형 AI 시장의 핵심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없이 즉시 응답하는 이 기술이야말로 미래 모바일 혁신의 핵심 축이라고 여겨지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스마트폰을 제외한 다른 기기에서의 온디바이스AI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