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일같이 생성형AI를 사용하면서 발전하는 속도를 실감하는 요즘, AI의 발전단계를 이해하려면 생성형 AI 그리고 ANI, AGI 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 할 텐데요,
오늘은 이 세 단계의 뜻과 실제사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AI의 발전단계를 이해하고 미래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다 같이 고민해 보시죠.
1단계 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 협의의 인공지능
ANI는 AI 발전의 첫 단계이자, 특정 업무에만 특화된 전문가형 AI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AI가 바로 이 단계라고 할 수 있죠.
ANI의 특징과 사례
네이버 파파고로 영어를 번역하거나, 유튜브가 내 취향에 맞는 영상을 추천해 주는 것, 은행 앱에서 얼굴 인식으로 로그인하는 것, 이 모든 것이 ANI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 단계의 AI는 한 가지 일은 인간보다 훨씬 잘하지만, 다른 일은 전혀 못한다는 게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AI는 운전은 완벽하게 하지만 대화는 할 수 없습니다.
음성비서 시리(Siri)는 날씨를 알려주지만 복잡한 업무 분석은 불가능합니다.
구글 번역기도 많이들 사용하실 텐데요, 문장 번역은 잘하지만 그 문장의 의도나 감정까지는 파악하지 못하는 것도 또 다른 예시입니다.
이런 사례들을 보시면 ANI가 너무 자연스럽게 우리의 삶속에 녹아들어서 AI인지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넷플릭스 추천알고리즘, 스팸메일 필터링, 신용카드 부정사용 탐지 등 이 모든 것이 ANI의 영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2단계 GAI (Generative AI), 생성형 인공지능
GAI는 ANI의 다음 단계로,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하는 AI입니다.
2022년 말 ChatGPT가 등장하면서 우리에게 가장 친숙해진 단계이기도 합니다.
생성형AI가 바꾼 일상
ChatGPT가 블로그 글 초안을 써주고, Claude가 코드를 작성해 주고, DALL·E나 Midjourney가 상상 속 이미지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것, 이 모든 게 GAI의 등장으로 바뀐 우리 모습입니다.
예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면서 AI도구를 이용해 블로그 썸네일을 직접 제작해 보면 프롬프트를 입력하자마자 순식간에 완성해 준답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생성형AI는 '창조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학습한 데이터 패턴을 조합하는 것으로, 스스로 이해하거나 사고하지는 못합니다.
마치 레시피를 보고 요리하는 것과 비슷해서 맛있게 만들 순 있지만, 왜 이 조합이 맛있는지는 모르는 거라고 할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생성형 AI란 무엇인가? 원리와 활용 사례 총정리
가장 선호하는 챗GPT, 무료유료비교
3단계 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일반 인공지능
AGI는 인간처럼 이해·추론·학습할 수 있는 범용 지능입니다.
아직은 연구 단계이지만, AI 업계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합니다.
AGI가 실현되면 달라지는 것들
AGI는 단순히 답을 생성하는 게 아니라, 맥락을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기분이 안 좋아"라고 말하면, 단순히 위로의 말만 하는 게 아니라 내 과거 대화 내용, 상황, 성격을 종합해서 진심 어린 조언을 줄 수 있는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OpenAI의 샘 알트만 CEO는 "AGI는 5년 내 가능하다"라고 말했지만, 일론 머스크는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는데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분명한 한 가지는 AGI가 실현되면 인간과 AI의 협업 구조가 완전히 바뀔 것이라는 점입니다.
즉 AGI시대가 도래하게 도면 교육, 의료, 법률 등 각 분야별로 크나큰 변화가 올 텐데요,
예를 들어 AI 선생님이 각 학생의 학습 스타일과 이해도를 파악해 맞춤형 수업을 진행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인공지능 3단계 한눈에 비교하기
| 구분 | ANI | GAI | AGI |
| 주요 기능 | 특정 업무 수행 | 콘텐츠 생성 | 범용 지능 수행 |
| 사고 능력 | 제한적 (프로그래밍된 범위) | 없음 (패턴 조합) | 인간 수준 |
| 대표 사례 | Siri, 파파고, 얼굴인식 | ChatGPT, Claude, Midjourney | 개발 중 (OpenAI, DeepMind) |
| 현재 상태 | ✅ 상용화 완료 | ✅ 보급 단계 | ⏳ 연구 단계 |
| 업무 범위 | 단일 작업 | 창작 작업 | 모든 작업 |
블로그 글을 쓰는 것을 예로 들어볼까요?
✔️ ANI: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로 오타 수정하기
✔️ GAI: ChatGPT로 글 구조 아이디어 얻기
✔️ AGI: 글쓰기 스타일, 독자 반응, 트렌드를 종합해 "오늘은 이 주제로 이렇게 쓰는 게 어때요?"라고 제안해 주기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인공지능은 ANI → GAI → AGI로 진화하고 있는데요,
다시 한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ANI는 '전문가 AI' - 한 가지 일을 완벽하게,
GAI는 '창조하는 AI' -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AGI는 '동료 AI' - 인간처럼 이해하고 판단하는,
지금 우리는 어느 시대에 살고 있을까요? GAI가 본격화되고 ANI가 고도화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는데요,
AGI가 현실화되는 순간, 기술과 사회의 경계가 새롭게 재편될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본격적인 AGI시대를 앞두고 과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고민이 필요할 때입니다.
'AI 기본기 완전정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본기 #14] 파운데이션 모델 완전 정복하기 (0) | 2025.11.09 |
|---|---|
| [기본기#12] AI윤리적 문제는? AI가 지켜야할 원칙과 사회적 변화 (0) | 2025.11.03 |
| [기본기 #11] 온디바이스 AI란? 스마트폰 속에 들어온 인공지능 (0) | 2025.11.01 |
| [기본기 #10]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센서까지,, 멀티모달 AI란? (0) | 2025.10.27 |
| [기본기 #9] AI의 두뇌, AI데이터센터의 모든 것 (0) | 2025.10.06 |
- Total
- Today
- Yesterday
- GPT-5.1 장점
- 파운데이션모델 다른점
- GPT-5.1 달라진점
- 플라잉뷰 3D
- 블랙웰 리스크
- GPT-5.1 출시
- 온디바이스 AI 리스크
- 코딩ai
- AI데이터센터
- CXL메모리
- 생성형AI 저작권
- AI생성물 저작권
- 파운데이션모델 구조
- AI윤리 사례
- 네이버지도AI
- HBM 한계
- 온디바이스 AI 장점
- AI반도체
- 네이버 현대차 협업
- HBM4메모리
- GPT-5.1 활용사례
- 블랙웰 기술 특징
- 파운데이션모델 미래
- AI윤리란
- 블랙웰 영향
- 데이터센터 관련주
- 온디바이스 AI란
- 파운데이션모델이란
- AI윤리적 문제
- HBF기술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