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이용하는 생성형AI 툴을 고른다면 다들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Gemini)가 아닐까 하는데요,
먼저 이번 글에서는 챗GPT 무료와 유료를 비교, 그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챗GPT 무료v유료 비교, 여러분의 선택은?
지난 8월 8일 GPT-5 출시로 전문가 수준의 생성형AI라는 평을 받고 있는 챗GPT.
챗GPT의 기본 개념은 이전 글 참조해 보시면 좋아요..
세상의 빛을 본 GPT-5, GPT-4에 비해 달라진 핵심 특징
2025년 8월 7일, 수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던 GPT-5가 드디어 공개되었습니다. 23년 이후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쳐온 챗GPT는 개인의 일상생활의 편의는 물론 산업별 생산성 향상에 크나큰 기여를 하고
afterglow21.com
챗GPT의 요금제는 무료와 유료로 나뉘구요,,
유료에는 Plus, Pro, Tem이 있는데
요금제별 기능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챗GPT 무료 (GPT-5 기본)
무료 사용자의 기본모델은 GPT-5인데요,
예전과 달리 용도에 맞춰 모델을 선택하는 게 아니라
복잡한 질문에서는 자동으로 추론모드를 호출하게 됩니다.
단 일일 메시지에 제한이 있고
속도도 제한이 있어 장시간 활용하기엔 불편한 수 있습니다..
👉 가벼운 질문, 블로그 글 초안작성, 짧은 글 요약 정도에는 무료로도 충분하더라고요..
2. 챗GPT Plus (월 $20)
Plus 요금제의 경우 무료 버전보다 빠른 응답을 제공해 주고
GPT-4o 등 모델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GPT-5 출시 이후 모델 선택이 불가해 많은 claim이 있었던 덕분이죠..
그리고 3시간당 160회 정도의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장문 요약, 데이터 분석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 빠른 속도와 끊김 없고 깊은 대화로 업무 효율성을 높여주어서 지금도 이용 중에 있습니다.^^
3. 챗GPT Pro (월 $200 내외)
Pro 요금제는
고급 추론 옵션인 GPT-5 Thinking의 경우 더 깊고 정밀한 추론 대응이 가능하고
GPT-5 Pro모델까지 무제한 사용할 수 있으며,
연구, 코딩, 데이터 분석 등 전문가들이 사용하기에 적격인 모델입니다.
👉 고가의 요금이다 보니 개인적으로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데이터셋을 다루거나 장시간 코딩을 돌릴 때 안정적이라는 평입니다.
4. 챗GPT Business (팀 요금제)
요금은
연간 결제 시 사용자당 $ 25/월,
월간 결제 시 사용자당 $ 30/월, 단 최소 2명의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Pro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팀단위의 공유 작업공간을 통해
협업 · 관리 도구로서의 역할도 해낸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역시 써보지는 않았지만 팀원들 간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프로젝트 초안을 협업하는데 있어 훨씬 수월하다고 합니다.
지난 8월 초 오픈AI측에서는 챗GPT의 WAU, 즉 주간 활성 사용자수가 7억 명을 넘어섰다고 했는데요,
WAU(Weekly Active Users)는 최근 7일 안에 최소 1번 이상 사용한 고유 사용자수를 뜻합니다.
그리고 Plus·Pro·Team 등 유료 사용자는 약 1,100만 명 정도로 집계된다고 합니다.
향후 무료와 유료 사용자의 수치는 제공 성능에 따라서 유동적일텐요,,
다음 시간에는 가입자수의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Gemini의 무료와 유료 버전에 대해 비교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