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머니챗

두산에너빌리티 등 SMR 관련주 총정리

by Raina_AI 2025. 9. 24.

지난 번에는 차세대원전, 즉 소형원전(SMR)의 특징, 장단점, 기술을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투자 관점에서 SMR 관련주들을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SMR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전 글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형원전(SMR) 특징부터 장단점, 기술까지..

지난번 글에서도 AI와 전력문제를 다루었는데요,앞으로 이렇게 늘어나는 전력을 어디서 조달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도 계실 텐데요,그 해답 중의 하나가 바로 SMR, 소형원전입니다.

afterglow21.com


SMR 관련주가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들어 SMR 관련주들이 많은 주목을 끌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무탄소 에너지이면서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한 SMR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 정책: 각국 정부가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친환경 원자력을 강화 중에 있습니다.
♦️  안정적 전력 공급: 태양광·풍력은 친환경 에너지이긴 하나 기후 변수에 취약하지만,

SMR은 24시간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합니다.
♦️  글로벌 투자 확대: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SMR 연구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저도 AI를 공부하면서 전력의 중요성, 특히 SMR의 중요성에 대해 실감하고 있으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SMR 관련주 (챗GPT 생성)
SMR 관련주 (챗GPT 생성)


국내 주요 SMR 관련주는?

1. 두산에너빌리티 (최고 대장주)

두산에너빌리티 하면 SMR의 최고 대장주라 할 수 있죠.

✔️ 강점: 2019년 4,400만 달러, 2021년 6,000만 달러 규모의 뉴스케일사 지분 투자를 완료
✔️최신 현황: 뉴스케일 파워가 지난 5월 77㎿급 모듈 표준설계인가(SDA)를 획득한 뒤, 미국 내 계약 체결 임박
✔️ 포인트: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SMR 핵심 기기의 독점 공급권 확보

2. 한전기술

✔️  강점: 원전 설계 및 엔지니어링 전문 기업
✔️  포인트: 국가 SMR 개발 프로젝트 핵심 참여사

3. 우진엔텍 (신흥 강자)

✔️ 강점: 소형모듈원전 SMR 관련주 대장주 1순위로 부상
✔️  포인트: 원자력 밸브 및 부품 전문 제조사

4. 한신기계

✔️ 강점: 원전용 펌프 및 기계류 제조
✔️  포인트: SMR용 소형화 설비 개발 참여

5. 서전기전

✔️ 강점: 원전 전기설비 및 제어 시스템
✔️  포인트: SMR 제어 시스템 공급 가능성

기타 주목할 만한 종목

✔️ 우리기술: 원자로 계측제어 분야 기술력
✔️ 비에이치아이: 원전 부품 제조
✔️ 에너토크: 원전용 토크 장비
✔️  오르비텍: 원전 관련 특수 부품

 

참고로 해외 SMR 투자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TerraPower는 2024년 와이오밍주 케머러 부지에 Natrium™ 건설에 착수
✔️ 폴란드: 첫 소형모듈원전(SMR) 부지 선정 완료
✔️ 중국·러시아: 해상 원자로 및 군사용 SMR 상용화 본격화

SMR 관련기업 (챗GPT 생성)
SMR 관련기업 (챗GPT 생성)


SMR 관련주 투자 시 유의사항

1. 장기적 관점 필요
SMR은 기술·정책 변수로 단기 급등락이 심할 수 있으므로 

5~10년 단위의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정책 리스크
정권 변화나 원자력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3. 기술 완성도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이므로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분산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선별적 투자 필요
정부는 2030년 이후 소형모듈원자로(SMR) 분야에서 세계에서 세 번째 선두를 차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지만, 

모든 관련주가 수혜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투자 전략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요?

핵심 대장주 위: 두산에너빌리티, 한전기술 등 실질적 사업 참여사 우선
분산투자: 한 종목에 집중하기보다는 3~4개 종목으로 분산
장기 보유: 단기 차익보다는 3~5년 장기 관점
실적 모니터링: 실제 계약 체결, 매출 발생 여부 지속 확인


SMR 관련주는 AI 시대 전력수요의 급증과 탄소중립 정책이 맞물리면서 장기적인 성장동력이 강력하다고 보는데요, 

실질적 성과를 내는 기업에 주목하면서 동시에 장기적 관점에서 분산투자 전략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어떤 종목에 관심이 있으신지요?

'AI 머니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바바 AI, 어디까지 질주할까?  (0) 2025.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