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I기술을 통해 큰 변화를 가지고 온 분야 중의 하나가 제조업인데요, 로봇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AI솔루션을 통해 생산성과 안전성을 함께 끌어올리고 있어 글로벌 산업의 지형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AI로봇 관련주는 물론 스마트팩토리 수혜주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I 로봇 산업의 성장 배경
제조업 현장에서 로봇 도입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요,
2025년 10월 현재 한국은 로봇밀도 세계 1위 국가로, 근로자 1만 명당 1,012대의 제조용 로봇을 운용하고 있어 세계 평균(162대)의 6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글로벌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500억 달러(약 65조원) 규모로,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협동로봇 분야는 연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을 보이며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 성장의 중심에는 AI 비전 인식 기술과 자율 제어 시스템이 있습니다.
과거엔 단순 반복 작업만 수행하던 로봇이, 이제는 AI가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고 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글로벌 시장 전망
✔️2027년까지 제조용 로봇 판매량은 연평균 3.6% 성장하여 약 60만 대 수준 도달 전망
✔️ 2030년 글로벌 로봇시장은 831억 달러까지 성장 예상
✔️ 2025년 이후 서비스로봇 시장이 제조로봇 시장을 추월할 전망
참고로 휴머노이드로봇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들께서는 아래 글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휴머노이드로봇 동향과 활용사례 정리
요즘에는 SF영화속 장면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는걸 많이 느끼는데요, 로봇이 사람처럼 물건을 나르고 집안일을 하는가 하면 탁구, 격투기까지 하죠? 이번 글에서는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Figur
afterglow21.com

주요 로봇 관련주 및 스마트팩토리 관련주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핵심은 자동화 장비 + AI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데요, 다음은 최근 시장에서 주목받는 대표적인 수혜주들입니다.
1.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핵심 포인트: 협동로봇(Cobot) 분야의 선두주자
✔️최신 현황: 2025년 삼성전자가 최대주주로 변경되며 연결 자회사로 편입
✔️ AI 활용: 삼성전자 AI 제어 시스템과 연동, 자율작업 기능 강화
✔️ 실적: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7.2% 증가
✔️ 기술력: KAIST 휴보 연구진이 창업, 협동·탑승·이족보행 로봇 기술 보유
✔️ 제품: RB, RBQ, 휴보, FX-2 등 다양한 라인업
✔️ 주가 모멘텀: 2025년 생산라인 자동화 투자 확대 수혜 기대, 휴머노이드 로봇 RB-Y1 양산 매출 본격화
투자 포인트:
✔️ 삼성전자와의 시너지로 반도체 AI 공정 투입 가능성
✔️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선점 기대
✔️ 현재 적자이나 2025년 하반기 흑자 전환 가능성
2. 두산로보틱스 (454910)
핵심 포인트: 국내 협동로봇 시장점유율 1위, 세계 4위 기업
✔️ 최신 현황: 2023년 10월 코스피 상장, 시가총액 약 4.6조원
✔️ 시장 지위: 국내 1위, 글로벌(중국 제외) 4위
✔️ 기술 경쟁력: Universal Robots 대비 가반하중 제품의 가격 경쟁력과 최고 안전등급 확보
✔️ 글로벌 확장: 2025년 유럽 최대 로봇 전시회 '오토매티카 2025' 참가
✔️ AI 솔루션: AI 기반 지능형 로봇 솔루션 개발 중
투자 유의사항: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1.2% 감소
✔️ 미국 관세 문제 및 유럽 경기 부진으로 단기 실적 부진
✔️ 협동로봇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4% 고성장 전망으로 중장기 성장성은 양호
3. 한화로보틱스
핵심 포인트: 한화그룹의 로봇 전문 계열사
✔️ 최신 현황: 2023년 10월 한화모멘텀에서 분사하여 설립
✔️ 사업 영역: AGV(무인운반차) 및 협동로봇 전문
✔️ 김동선 총괄: 한화그룹 오너 3세가 전략기획 총괄
✔️ 시장 전략: 미국, 유럽 등 세계 30곳 이상의 거점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
✔️ 응용 분야: 음식조리, 시설관리,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등
시장 기대:
✔️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은 2025년 65억 4천억원 규모로 급성장 전망
✔️ 한화 협동로봇의 60% 이상이 북미와 유럽 지역에 판매 중
4. LS ELECTRIC (010120)
핵심 포인트: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 제공 기업
✔️ 최신 현황: 2025년 자회사(LS ITC, LS티라유텍)와 스마트팩토리 역량 통합
✔️ 핵심 기술
ㅇ공정 자동화 시스템 + AI 예지보전(Preventive Maintenance)
ㅇ디지털트윈 스마트공장 플랫폼 'SMI'
ㅇ에너지 효율관리 플랫폼 '그리드솔 큐브'
✔️글로벌 진출: 베트남 스마트팩토리 시장 진출(베카멕스와 협력)
✔️ 협력: LG전자와 스마트팩토리 얼라이언스 결성
✔️사업 확장
ㅇAI 데이터센터 맞춤형 패키지 솔루션 출시
ㅇ2025년 북미(텍사스) 생산시설 가동으로 현지 시장 공략 본격화
ㅇ아세안 시장: 2025년 평균 전력 투자 76조 원에서 2030년 273조 원 규모 성장 전망
2025년 글로벌 AI 제조혁신 트렌드
스마트팩토리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공장(Data-Driven Factory)"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 트렌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노코드 프로그래밍
✅비전문가도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로봇 제어 가능
✅ AI 기반 자동 티칭 기능 확산
디지털트윈 기술
✅ 가상환경에서 로봇 동작 사전 시뮬레이션
✅ 실시간 센서 데이터로 실제 현장과 동기화
AI 예지보전
✅ 설비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고 예측
✅ 생산 효율을 실시간 최적화
클라우드 기반 MES
✅ 제조실행시스템이 공정 데이터를 통합 관리
✅ 전사적 생산성 향상
에너지 효율화
✅ 저전력 구동 로봇, 에너지 회생 제어 기술
✅ ESG 경영과 연계한 친환경 제조
글로벌 기업 동향
ABB, Siemens, FANUC 등은 이미 AI 제조 플랫폼 사업에 진입했으며, 국내 기업들도 빠르게 협력 생태계를 구축 중입니다.
다크 팩토리(Dark Factory) 시대 도래:
✅ 완전 무인 생산 시스템으로 진화
✅ 샤오미, 테슬라, 폭스콘 등 부분 다크 팩토리 구축 성공
✅ 국내 대기업들도 2030년 실현 목표로 대규모 투자
국내 스마트팩토리 시장 전망은?
그럼 우리나라의 스마트팩토리 시장 전망은 어떨까요?
2025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9.7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국내 스마트팩토리 성장 동력
♦️맞춤형/개인화 제품 수요 증가
♦️ 강력한 디지털 생태계(5G, 고속인터넷)
♦️ 산업계-학계 협력 확대
♦️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3만 개 확산 정책
국내 스마트팩토리 관련 정부 정책
♦️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24-2028):
♦️ 2030년까지 민관합동 총 3조원 이상 투자
♦️ 첨단로봇 100만 대 보급 목표
♦️ K-로봇경제 실현 추진
지금까지 글을 읽으시면서 로봇 & 제조업 AI 관련주의 미래는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AI가 산업현장을 바꾸는 속도는 생각보다 빠릅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전환은 단순 트렌드가 아니라, 향후 산업 경쟁력의 핵심 축이 될 전망인데요,
투자포인트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기 관점 (2025-2026)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 자회사 편입 + 휴머노이드 양산
🛡️ LS ELECTRIC: 데이터센터 수혜 + 아세안 진출
🛡️ 두산로보틱스: 실적 회복 시점 주목 필요
중장기 관점 (2027-2030)
🛡️ 협동로봇 시장 연평균 20% 성장
🛡️ 글로벌 로봇시장 831억 달러 규모 확대
🛡️ 다크 팩토리 실현으로 새로운 수요 창출
주의사항: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 모니터링 필요
🔶 미국 관세 정책 변화 주시
🔶 개별 기업의 실적 개선 속도 차이 존재
관련글
[산업주 #1] AI반도체 관련주 분석을 위한 주요 기업의 핵심기술 및 차별화 포인트
[산업주 #2] 클라우드 관련주 및 데이터센터 관련주 정리해보기
'AI 머니챗'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MR(마이크로 모듈 원자로) 시장전망과 투자리포트 (0) | 2025.10.25 |
|---|---|
| [산업주 #4]AI신약개발부터 디지털 헬스까지,,, AI헬스·바이오 관련주 파고들기 (0) | 2025.10.23 |
| [산업주 #2] 클라우드 관련주 및 데이터센터 관련주 정리해보기 (0) | 2025.10.13 |
| 광주·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현황과 관련주 정리 (0) | 2025.10.11 |
| [산업주 #1] AI반도체 관련주 분석을 위한 주요 기업의 핵심기술 및 차별화 포인트 (0) | 2025.10.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온디바이스 AI란
- 블랙웰 리스크
- 플라잉뷰 3D
- 네이버지도AI
- GPT-5.1 활용사례
- AI윤리 사례
- AI반도체
- GPT-5.1 달라진점
- CXL메모리
- AI윤리란
- 온디바이스 AI 리스크
- HBM 한계
- 파운데이션모델 미래
- 네이버 현대차 협업
- AI윤리적 문제
- 블랙웰 기술 특징
- 코딩ai
- 온디바이스 AI 장점
- HBM4메모리
- HBF기술
- 블랙웰 영향
- 파운데이션모델 구조
- GPT-5.1 출시
- 데이터센터 관련주
- 파운데이션모델이란
- 파운데이션모델 다른점
- AI데이터센터
- AI생성물 저작권
- GPT-5.1 장점
- 생성형AI 저작권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