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머니챗

알리바바 AI, 어디까지 질주할까?

by Raina_AI 2025. 9. 25.

오늘 뉴스에서 알리바바가 많이 언급되었는데요,

알리바바 회사 소개부터 1조 개 매개변수 Qwen3-Max 모델 공개, AI 투자 확대 등 최신 소식까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글로벌테크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소식 중의 하나가 알리바바 AI 전략인데요,

알리바바 그룹은 기존의 전자상거래 기업 이미지를 넘어,

초거대 언어모델과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본격적인 AI 기업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특히 25년 9월 25일 Apsara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1조 개 매개변수를 가진 Qwen3-Max 모델 공개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그룹과 현재 알리바바 회장은?

알리바바 마윈을 떠올리시는 분들 많으시죠?

알리바바 그룹은 1999년 마윈(Jack Ma)이 창업한 중국의 대표적인 IT 기업입니다.

시작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었지만 지금은 클라우드, 핀테크, 물류, 인공지능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알리바바의 회장은  조셉 차이(Joseph Tsai),이고, CEO는 우융밍(Eddie Wu)입니다.

이 두 사람 모두 1999년 설립 초기부터 회사에 몸담아온 베테랑으로,

2023년 9월 경영진 교체를 통해 현재까지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마윈은 공식 직책에서는 물러났지만

2023년 중반 이후 사실상 경영에 복귀해 주요 사업 방향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회사 소개" (챗GPT 생성)
"알리바바 회사 소개" (챗GPT 생성)

 


알리바바 Qwen3-Max 공개, 1조개 매개변수..

2025년 9월 25일 Apsara 컨퍼런스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CTO 저우진런(Zhou Jingren)은

자사의 가장 발전된 초거대 언어모델 Qwen3-Max를 공개했습니다.

Qwen3-Max 주요 특징

✅1조 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진 대규모 언어모델
✅ 36조 개 토큰으로 학습 완료
✅ 100만 단어 길이의 입력 처리 가능
✅ MoE(Mixture of Experts) 구조 적용으로 안정적인 성능 유지
✅ 텍스트 생성, 코드 작성, 자율 에이전트 구현 등에서 강점

또한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까지 다룰 수 있는 Qwen3-Omni도 함께 공개했습니다. 

알리바바는 이 모델들을 개발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알리바바, 1조 개 매개변수 'Qwen3-Max' AI 모델 공개 -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의 전자상거래 거대기업 알리바바가 연례 컨퍼런스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언어 모델 'Qwen3-Max'를 공개하며 AI를 핵심 비즈니스 전략으로 더욱 강화한다고 발표했다고 24일(현지시각

www.g-enews.com

 

 


알리바바 투자 확대와 AI 인프라 전략

알리바바는 원래 3년간 3,800억 위안(약 534억 달러)을 AI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발표에서 이 계획을 넘어 더 큰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투자 확대 배경을 보면,,
🟢우융밍 CEO 발언: "AI 산업 발전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르다" → 예산 상향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죠..
🟢자체 칩 개발: 외국산 고급 칩 의존도를 줄이고, 추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AI 전용 칩 개발 추진 중입니다.
🟢NVIDIA와의 협력: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 물류 분야 확장을 위해 NVIDIA의 물리적 AI 개발 툴을 자사 플랫폼에 통합

 

이러한 내용을 살펴보면 단순한 모델 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AI 생태계 전반에 있어서 그 영향력을 넓혀가려는 전략이 아닌가 합니다.

 

 

中 알리바바 "AI 인프라 수요 예상 초월…투자액 늘릴 것"

中 알리바바 "AI 인프라 수요 예상 초월…투자액 늘릴 것", 기존 3800억위안서 증액 예고 주가 하루 만에 9%대 치솟아 韓·日 등에 데이터센터 추가 캐시 우드, 4년만에 투자 재개

www.hankyung.com

 


알리바바 전자상거래, AI와 융합 시도

알리바바는 AI 기술을 전자상거래와 결합해 새로운 모델을 실험 중입니다.
예를 들어

상품 설명만 입력해도 AI가 이미지를 생성하고, 주문이 확정되면 생산하는 방식을 통해 재고 부담을 최소화하게 되는 거죠.

또한  AliBoost 알고리즘을 통해 신규 상품(콜드 아이템)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기회를 확대한다는 전략입니다.

즉 AI가 단순히 전자상거래의 보조수단이라기보다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알리바바의 도전 과제와 리스크

이러한 도전 속에서 알리바바의 풀어야 할 과제와 리스크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도체 수급 제한: 미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알리바바를 포함한 중국 빅테크 기업들의 리스크 존재
♦️치열한 경쟁: 중국 내에서도 딥시크(DeepSeek) 등 신흥 AI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
♦️글로벌 경쟁: Open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과의 경쟁 구도 지속
♦️규제 환경: 중국 정부의 플랫폼 규제 강화 움직임은 불확실성 요소로 작용


이번에 발표된 알리바바 AI 'Qwen3-Max' 모델 공개와 투자 확대는, 

알리바바가 단순한 전자상거래 기업을 넘어 AI 중심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조 개 매개변수와 100만 단어 처리 능력은 기존 AI 모델들과 차별화되는 강력한 성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알리바바가 글로벌 AI 경쟁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지, 

그리고 중국 내 딥시크 같은 경쟁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어떤 전략을 펼칠지 관심을 가져봐야 되겠습니다.

'AI 머니챗'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에너빌리티 등 SMR 관련주 총정리  (0) 2025.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