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분야에서 최근 가장 뜨거운 뉴스는 바로 2025년 9월 30일 공개된 Sora2일 텐데요, 물리성·Cameo 기능이 강점인 Sora2의 기능을 알아보고 영상생성 AI의 양대 축인 Google의 Veo3와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습을 드러낸 Sora2 특징은?
Sora2는 영상과 오디오를 함께 생성하는 차세대 생성형 AI를 뜻합니다.
그 특징으로는,,
🔶물리적 사실성(physics): 농구공이 튀는 궤적, 물체 충돌 반응 등 실제 같은 움직임을 표현
🔶 오디오 동기화: 배경음악, 효과음, 대사 등을 장면과 맞춰 생성
🔶 스타일 제어: 실사풍, 영화풍, 애니메이션풍 등 다양한 스타일 선택 가능
🔶 Cameo 기능: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목소리를 등록하면, 신뢰 기반으로 영상 속에 삽입 가능
🔶 안전 장치: 워터마크&메타데이터 삽입, 출처 추적, 필터링 등을 통해 AI 생성물 여부를 구분할 수 있음
Google의 Veo3란 무엇인가?
Veo3는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최신 영상 생성 AI를 말하는데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상 + 오디오 동시 생성: 원래부터 네이티브 오디오 생성을 중심에 두고 개발되어 대화, 음향 효과, 배경음까지 생성 가능
생태계 통합: Google의 Gemini, Vertex AI, Flow 같은 툴과 연결되어 영상 제작 워크플로우에 쉽게 통합
생성 길이와 해상도: 공식적으로는 8초 클립 중심이지만, 일부 고급 옵션에서 더 긴 영상도 가능
복잡한 장면에서는 여전히 모션 깨짐이 발생할 수 있다고는 하나
물리성 및 장면 연속성이 개선된 움직임과 장면을 묘사해 줍니다.
Sora2 vs Veo3 비교
구분 | Sora2 | Veo3 |
출시 | 2025년 9월 30일 발표, 초대 기반 배포 시작 | 2025년 5월 공개, Google 생태계 중심으로 배포 |
영상+오디오 | 영상과 오디오 동기화 개선, Cameo 기능 포함 | 네이티브 오디오 생성 강점 (대사·음향·음악 포함) |
물리성 / 현실감 | 충돌, 중력, 반사 등 실제 물리 법칙 반영 강화 | 자연스러운 움직임 가능, 하지만 복잡한 장면에서는 제약 |
아이덴티티 유지 | Cameo 기능으로 얼굴·목소리 삽입 가능 | 별도 얼굴 삽입 기능 없음, 대신 Flow 도구로 연속성 보완 |
생태계 통합 | 챗GPT·OpenAI 생태계와 연계 강화 | Google Gemini·Vertex AI와 긴밀히 통합 |
영상 길이 | 짧은 클립 위주 (10~20초 예상) | 기본 8초 클립, 일부 고급 기능은 더 긴 영상 가능 | |
안전 장치 | 워터마크·메타데이터·출처 추적 제공 | 디지털 워터마크, Google의 추적 기술 활용 |
Sora2 vs Veo3, 어떤 모델이 더 적합할까?
♦️ 개인 콘텐츠·SNS·브랜딩: 얼굴·목소리 삽입이 가능한 Sora2가 강점
♦️ 음향 효과와 대화 중심 콘텐츠: 네이티브 오디오에 강한 Veo3가 유리함
♦️ 플랫폼 호환성 고려: 챗GPT·OpenAI 생태계를 이미 쓰고 있다면 Sora2,
Gemini, Vertex AI 등 Google 도구를 쓰고 있다면 Veo3가 더 자연스러울 수 있음
Sora 2는 현재 iOS 앱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우선 출시되었는데요
지금 우리나라에선 Sora2 사용을 위해서 친구로부터 초대코드를 받아서 사용하시고요,,,
다시 4명에게 초대코드를 공유해 주시면 됩니다.
저도 영상 만들다 보니 시간 가는 줄도 모르겠는데 Sora2의 세계로 가보실까요?^^
'AI 기본기 완전정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인튜닝이란? 전이학습·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의 비교 (2) | 2025.09.28 |
---|---|
생활속 도우미, AI에이전트란? 핵심개념과 활용사례 (3) | 2025.09.20 |
AI 공통의 언어 MCP, 중요성과 사례 알아보기 (1) | 2025.09.14 |
검색을 쉽고 빠르게 요약해주는 'AI오버뷰' (1) | 2025.09.04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답변의 질을 높이자 (2) | 2025.08.31 |